[고교]傳統倫理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

Ⅰ. 전통윤리의 의의와 기본 정신

[형성평가]

1. ‘전통(傳統)’이란 말에서 전(傳)의 의미를 역과 관련하여 바르게 묶은 것은?

    ① 시간적 연속, 공간적 변화

    ② 정신적 고정, 물질적 변화

    ③ 옛적 정신, 현대적 물질

    ④ 주체적 정신, 변용의 물질

    ⑤ 동양의 정신, 서양의 물질


2. 다음 글을 읽고 ‘전통’과 ‘현대’의 관계를 설명한 것 중 바르지 못한 것은?

하나의 나무에서 꽃이 피고 잎이 피고 열매가 맺는 것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일어나는 현상으로 우리의 관심을 끌고 있지만, 이처럼 때에 맞는 변화를 가능하게 해 주는 원동력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땅 속에 깊이 뻗어 내려간 뿌리가 물과 영양을 섭취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가지 끝에서 때맞추어 일어나는 변화와 뿌리의 공급은 가지와 뿌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만약 가지와 뿌리 사이를 끊어 놓으면 그 가지의 잎이나 꽃이 시들고 말 것이며, 그 뿌리도 생명을 잃어버리고 말 것이다.

    ① 전통은 뿌리에, 현대는 가지에 비유할 수 있다

    ② 전통과 현대는 베틀의 날실과 씨실의 관계와 같은 것이다

    ③ 전통과 현대는 뿌리와 가지처럼 유기적 일체를 이루고 있다

    ④ 전통과의 단절이 가능할 때에만 현대의 눈부신 발전이 확보될 수 있다

    ⑤ 현대 사회는 전통의 안정된 기반에서 그 변화의 지혜들이 발휘될 수 있다


3. 청소년들의 정체성 확립에 있어 전통 문화와 전통 윤리는 어떤 가치가 있는지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TM의 경험을 토대로 자신의 의견을 서술해 보시오.

 

<예시 답안>


4.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라는 말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전통 윤리의 특수성과 세계 윤리의 보편성의 관점에서 논하시오.

 

<예시 답안>

       

 [2단원]

1. 우리 전통 윤리의 문제점과 그 원인을 연결한 것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다른 공동체에 배타적임-지나친 ‘우리’ 의식

    ② 한국적 부패 고리-지나친 정(情)의 윤리

    ③ 합리적 의사 결정 저해-효의 지나친 강조

    ④ 사회적 비효율성 증가-남성 위주의 사회 구조와 윤리

    ⑤ 평등한 인간 관계 저해-수직적 인간 관계의 유교 윤리


2. 다음과 같은 현상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전통 윤리가 주는 직접적 영향을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에서 서술하시오

우리에게는 가문(家門)의식이 매우 강하여, 요즈음 먼 일가 친척이라도 함께 모여 한 집안의 유대 의식을 확인하는 ‘종친회’나 ‘화수회’등의 모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조상들 가운데 훌륭한 인물에 대해 후손들은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조상의 공적을 기리기 위한 선양 사업에 후손들은 많은 노력을 기울이기도 한다.  이처럼 우리는 먼 조상으로부터 오늘날의 자손에 이르기까지 유대 관계가 유지되는 혈통 의식을 지니고 있으며, 가문 의식에서 조상을 빛내야 한다는 의무감과 가문을 명예롭게 해야 한다는 책임감이 각성되고 있다,

      <긍정적 측면>





    <부정적 측면>

<예시 답안>

 

3. 우리 전통 윤리의 특성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정서적 유대감을 중시한 ‘정(情)’의 윤리라 할 수 있다.  정(情)의 윤리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분석하고 현대 사회에서 정의 윤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시오.

 

<예시 답안>

 

     

4. 우리 전통 윤리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현대 서구 윤리와의 조화를 위해 노력할 점을 서술하시오.

 

 

<예시 답안>

     


 [3단원]

1. 다음 중 무속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무속에서는 세상의 모든 것이 살아 있다고 본다.

    ② 무속에서는 현세에서의 풍요롭고 편안한 삶도 중시하고 기원했다.

    ③ 무속에서 추구하는 목표는 천지 만물의 기운과 하나가 되는 것이다.

    ④ 무속에서는 무아경 속에 인간이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행복이 있다고 본다.

    ⑤ 무속은 문명이 발달하지 못한 삼국 시대 이전에만 우리 민족의 삶에 영향을 미쳤다.


[2~3] 다음은 최치원 선생의 글이다.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우리나라에 현묘한 도가 있으니 이를 풍류라 한다.  그 교의 기원은 선사(先史)에 자세히 실려 있다.  실로 이는 ㉠삼교(三敎)를 포함하여 중생을 교화한다.

  

2. 다음 중 위의 풍류와 공통성이 없는 것은?

    ① 실학 사상

    ② 동학의 인내천

    ③ 원효의 화쟁 사상

    ④ 단군의 건국 이야기

    ⑤ 의천, 지눌의 교선 조화


3. 윗글의 밑줄 친 ㉠의 삼교의 내용으로 최치원이 제시하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르면?

    ① 모든 일을 순리대로 행한다

    ② 장생 불사의 수련을 행한다

    ③ 착한 행실만을 받들어 행한다

    ④ 부모에 효도하고 나라에 충성한다

    ⑤ 불의에 굽히지 않는 호연지기를 기른다


4. 다음은 조선 후기의 한 유학 사상가의 인간 본성에 대한 사상이다.  그의 사상을 바르게 이해한 것은?

벼의 본성은 물을 좋아하고, 기장의 본성은 마른 자리를 좋아하고, 파의 본성은 닭똥을 좋아하는 것이 있으니, 이것이 한 종류의 기호(嗜好)이다.  지금 인성(人性)을 논하면 사람은 선을 즐기고 악을 미워하지 않는 사람이 없으니, 하나의 선을 행하면 그 마음은 뿌듯하니 즐겁고 하나의 악을 행하면 그 마음은 찜찜하니 답답하다.  그래서 인간은, 벼를 물에 심고, 기장은 마른 땅에 심고 파는 닭똥을 거름으로 주듯, 선을 행해야 하는 것이다.

    ① 행위자의 실천 의지보다는 내면적 도덕성을 중시하였다

    ②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는 순자의 성악설의 입장과 일치한다

    ③ 모든 덕은 참된 앎에서 나온다는 주지주의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④ 인간의 존재를 현실성과 자율적 실천에 근거하여 파악하려고 하였다

    ⑤ 인간은 누구나 하느님과 같이 무궁한 존재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5. 유교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상을 목표로 보편적인 이상 사회를 건설하려 하였다.  이러한 사상이 앞으로 21세기 세계화 시대에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논술하시오.

“대도(大道)가 행해지면 천하가 공평하게 된다.  어진 덕이 있는 자나 재능이 있는 자를 뽑고 믿음을 가르치고 화목함을 닦는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자기의 어버이만을 친애하거나 자기의 자식만을 친애하지 않게 된다.  노인은 안락하게 삶을 마칠 수 있고 홀아비 ․ 과부 ․ 부모 없는 고아, 자식 없는 외로운 사람, 그리고 병든 사람들이 모두 보살핌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남자에게는 일정한 직분이 있고 여자에게는 시집을 갈 곳이 있다.  재물을 땅에 버리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반드시 자기가 가지려고 하지 않으며, 힘이 있어도 자기만을 위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간사한 모의는 닫혀져서 생겨나지 않고, 도절란적(盜竊亂賊)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바깥 문을 닫지 않고 안심하고 생활한다.  이것을 대동(大同)이라도 한다.”

  

 

<예시 답안>

      


[4단원]

1. 다음 (가)와 같은 현대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나)와 같은 전통 윤리 정신을 되살릴 필요가 있다.  (가)와 같은 윤리적 문제의 근본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그리고 (나)에서 되살릴 필요가 있는 전통 윤리 정신은 무엇인가?  옳게 짝지어진 것을 고르시오.

(가) PC통신, 인터넷 등 사이버 공간에서 그 본래의 기능을 악용해 욕설과 비방, 유언비어, 선정적 표현 등 부정적인 현상이 극심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전화는 현대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문명의 이기이다.  그러나 일부 사용자들의 잘못으로 많은 사람들을 전화 폭력에 시다릴게 하는 흉기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무엇보다도 당장 남이 보지 않으면 무슨 짓을 해도 상관없이 살 수 있다는 양심 상실 내지 도덕성 상실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나) “군자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경계하고 삼가며, 들리지 않는 곳에서도 두려워하고 조심한다.” 이와 같은 자세로 이황 선생님은 남이 보든 안 보든 매사를 항상 엄숙하고 차분한 자세로 옳은 일에 몰두할 것을 강조하였다.


             (가)                          (나)

      ① 개인의 이기심      절제(節制)정신

      ② 익명성                 경(敬)의 정신

      ③ 과도한 호기심      금욕(禁慾) 정신

      ④ 쾌락적 욕망         극기(克己) 정신

      ⑤ 분파와 경쟁심      조화(調和) 정신


2. 다음 동서양 사상가의 사상은 현대 사회의 환경 문제 해결에 중요한 정신적 기초를 제공해 주고 있다고 평가되는데, 그것은 이 사상이 갖고 있는 어떤 요소 때문인가?

하늘은 광활하고 땅은 넓다.  그리고 인간도 크다.

우주는 큰 것이 네 가지가 있는데, 인간은 그 중에 하나일 뿐이다.

사람은 땅을 법칙 삼아 어긋나지 않고[人法地], 땅은 하늘을 법칙 삼아 어긋나지 않으며[地法天], 하늘은 도를 법칙 삼아 어긋나지 않으며[天法道], 도는 자연을 법칙 삼아 어긋나지 않는다[道法自然], (노자25장)

 

    ① 무위자연의 정신을 담고 있다.

    ② 생명의 가치에 우열이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고 본다.

    ③ 인간이 만물을 지배할 수 있는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

    ④ 세상에서 최고로 귀중한 존재는 산, 바다와 같은 자연물임을 강조하고 있다.

    ⑤ 인간 외의 다른 존재에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존귀함을 인정하여, 인간 위주의 무리한 욕망을 개입시켜서는 안 된다.


3. 다음은 한 동양 사상가의 사상을 잘 나타내고 있는 글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이 자료들을 통해서 추론할 수 있는 결론으로서 타당하지 못한 것을 두 개 고르면?

<자료1>

  땅에는 아지랑이가 아른거리고 티끌이 자욱하고 온갖 생물이 숨쉬고 있건만, 하늘은 온통 파란빛으로 보인다.  저 푸르르고 푸른빛은 하늘 그 자체의 본디부터의 빛인가? 아니면 너무 멀어 끝이 없어서 저렇게 보이는 것일까?  가령 후자라고 한다면 저 구만 리 높은 하늘에 있는 큰 붕새가 아래 세상을 굽어 보았을 경우에도 역시 푸르게 보이리라.

<자료2>

  원숭이는 긴팔원숭이를 좋아해 짝으로 삼고, 순록은 사슴과 사귀며, 미꾸라지는 물고기와 의좋게 헤엄쳐 다닌다. 그런데 모장이나 여희는 인간이 이들을 절세 미인이라고 말하나 물고기가 그 모습을 보고서 죽어라고 달아나니라.  나의 눈으로 보건대 세상에서 말로 표현하는 인의(仁義)의 실마리며 시비(是非)의 도(道) 따위는 영문을 알 수 없으리만큼 뒤죽박죽이 되어 있어, 도무지 구별이 되지 않는다네.

 

    ① 만물은 평등하므로, 구별이나 차별하지 말아야 한다

    ② 인간은 인위적 가식과 위선에서 벗어나 본래의 자기 모습대로 살아가야 한다

    ③ 세상의 모순들은 상대적으로 생겨난 것이므로 한 쪽만 옳다고 집착해서는 안 된다

    ④ 인간이 보다 풍요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공공의 정당한 윤리 규범인 예(禮)에 따라야 한다

    ⑤ 인간은 과연 자신이 추구하는 세계가 진정으로 행복한 삶을 사는 것인지에 대하여 되돌아보아야 한다

     

    <자료1> 해설 / <자료2> 해설

 

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