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대적 배경
- 16세기 중엽, 성리학자들의 비현실적 논쟁
- 당쟁, 사화(士禍)로 사회 기강 문란
- 임진왜란, 병자호란으로 국민 생활 궁핍
- 시대적 상황 극복 노력, 근대 지향적, 개혁적인 사상의 등장
- 이이 : 경제적 안정을 통한 사회 개혁(현실주의)에 영향 받은 실학 태동, 정약용·최한기에 집대성
2> 실학의 과제와 전개
- 과제 - 민생안정과 사회발전 등, 현실 사회 문제 해결
- 전개 - 경세치용(經世致用), 이용후생(利用厚生), 실사구시(實事求是)
- 이용 후생(利用厚生)
- 이용(利用) - 경제 성장, 후생(厚生) - 사회 복지
- 청의 발달 문물을 배워 상공업의 진흥을 통한 경제 성장과 사회 복지를 추구
- 《서경》의 '정덕이용후생(正德利用厚生)' - 정덕(正德, 바른 도덕)을 기초로 이용(利用)에
의해 축적된 부를 후생(厚生)의 사회복지로 전환하여 안정된 사회 이룩
- 실사 구시(實事求是)
 
- 사실에 근거하여 진리를 탐구하려는 객관적 태도와 실증적 연구 자세
- 우리 자신의 역사와 지리 및 문헌 등의 연구를 통한 민족 정체성 형성에 기여
- 성리학적 학문 풍토에서 탈피, 독자적인 학문의 탐구를 통한 실학의 집대성
- 심성론(心性論) - 성기호(性嗜好) 사상
- 성(性) - 무엇을 싫어하고 좋아하는 성향(嗜好)
- 내면적 도덕성보다는, 자신의 성향에 따른 자율적 실천 의지나 행위 과정 중시
- 심성 - 선, 악으로 결정된 것이 아니라, 행위의 구체적 실천을 통하여 결단을 촉구하는 자유
의지
- 덕 - 인간 본성에 내재된 것이 아니라, 일상적 행위 속에서 실천하면서 행성되는 것.
- 성리학에서의 욕망 - 악의 가능성을 지닌 것으로 부정하고 제어해야 할 대상
- 정약용 사상에서의 욕망 - 삶의 원동력으로 긍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