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양 열강의 침략과 서양 문물의 유입
- 전통 사회의 기반이 흔들리고 전통적인 가치관이나 윤리 사상이 상실될 위기에 처함
- 위정 척사, 동학 사상, 개화 사상 등장
- 의미 - ‘올바른 것은 지키고 거짓된 것은 배척한다.’
- 의의 - 올바른 가치관과 민족 정신으로 과학 기술과 천주교를 앞세운 사악한 외세를 극복하자는 것
- 정신적 기반
- 주체성을 침해하는 외부의 세력과 문물을 거부하는 강인한 민족 주체성의 표현,
- 자주 민족 정신, 인간 존중 정신, 의리 정신, 호국 정신
- 충절의 선비정신 -> 위정척사 -> 독립운동으로
이어짐
<사진을 누르면 최제우 선생님의 생애와
사상을 더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
- '개화(開化)' - '개발하여 변화시킴[開發變化]', '새로운
것에 나아가 자립함[就新自立]', '장점을 기르고 단점은
버림[就長捨短]'
- 실학 사상의 이념 계승, 서양 근대화 문물의 주체적 수용하는 바탕이 됨
- 1884년 갑신정변의 주도 세력들 -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 변법적 개화론 - 종래 유교 사상에 대해 부정적 입장
- 개량적 개화론 -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의 입장에서
서구 문물을 수용하자는 입장
- 東道西器 - 동양정신과 서양물질 : "동양의 유교적 정신과 도, 서양의 군사,
과학, 물질, 기술, 실용"의 묘합
- 사랑의 실천 - 인도주의, 평등 사상
- 전통 윤리 사상과 더불어 민족의 생활 양식과 윤리 의식에 많은 영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