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한국의 윤리 사상
(2) 한국 윤리 사상의 전개

 
【4】19세기 말 개화기의 사상

    (1) 19세기의 시대적 상황

  •  서양 열강의 침략과 서양 문물의 유입
  •  전통 사회의 기반이 흔들리고 전통적인 가치관이나 윤리 사상이 상실될 위기에 처함
  •  위정 척사, 동학 사상, 개화 사상 등장
  • 의미 - ‘올바른 것은 지키고 거짓된 것은 배척한다.’
  • 의의 - 올바른 가치관과 민족 정신으로 과학 기술과 천주교를 앞세운 사악한 외세를 극복하자는 것
  • 정신적 기반
    • 주체성을 침해하는 외부의 세력과 문물을 거부하는 강인한 민족 주체성의 표현,
    • 자주 민족 정신, 인간 존중 정신, 의리 정신, 호국 정신
    • 충절의 선비정신 -> 위정척사 -> 독립운동으로 이어짐

    (3) 동학(東學) 사상 memo1.gif 

  • 외래의 서학(西學)에 대항, 최제우(崔濟愚, 1824-1864)에 제창된 민중 운동 성격의 종교 활동
  • 안정된 사회 : 이용→(正德)→후생
  • 민족 고유 사상인 경천 사상의 바탕과 유불선(儒佛仙), 3교 사상의 융합
  • 侍天主(시천주) - '내 마음안에 하느님을 모신다.' (최제우)
  • 事人如天(사인여천) - '하늘과 같이 사람을 섬기라.' (최시형)
  • 人乃天(인내천) - ‘사람이 곧 하늘이다.’(손병희)
  • 吾心卽汝心(오심즉여심) - '내마음이 곧 네마음’
  • 대인 관계에 있어서 하늘을 섬기는 것처럼 신중할 것을 강조
  • 인본주의를 기반으로 한 사해(四海)평등주의 표방
  • 실천에 주력, 반봉건, 반(反)외세주의
  • 개벽(開闢)사상 - 새 시대를 열고자 하는 개혁사상


<사진을 누르면 최제우 선생님의 생애와 사상을 더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

  • '개화(開化)' - '개발하여 변화시킴[開發變化]', '새로운 것에 나아가 자립함[就新自立]', '장점을 기르고 단점은 버림[就長捨短]'
  • 실학 사상의 이념 계승, 서양 근대화 문물의 주체적 수용하는 바탕이 됨
  • 1884년 갑신정변의 주도 세력들 -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 변법적 개화론 - 종래 유교 사상에 대해 부정적 입장
  • 개량적 개화론 -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의 입장에서 서구 문물을 수용하자는 입장
  • 東道西器 - 동양정신과 서양물질 : "동양의 유교적 정신과 도, 서양의 군사, 과학, 물질, 기술, 실용"의 묘합

 

    (5) 그리스도 교 사상의 전래

  • 사랑의 실천 - 인도주의, 평등 사상
  • 전통 윤리 사상과 더불어 민족의 생활 양식과 윤리 의식에 많은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