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한국의 윤리 사상
(2) 한국 윤리 사상의 전개

 
【1】한국의 유교 윤리 - 4. 조선 시대 실학

4. 조선 시대 실학

    (1) 시대적 배경

  • 16세기 중엽 이후 임진왜란 ․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사회 전반에 개혁과 반성의 소리가 터져 나옴
  • 근대 지향적이고 사회 개혁적인 경향
  • 배경 : 공리 공론으로 흐른 그 당시 우리 나라 학계 분위기에 대한 반성 및 청나라 고증학의 영향과 서학이라는 서구 문물의 유입
  • 시대적 상황 극복 노력, 근대 지향적, 개혁적인 사상의 등장
  • 이이의 경제적 안정을 통한 사회 개혁(현실주의)에 영향 받은 실학 태동, 정약용·최한기에 집대성

    (2) 실학의 과제와 전개

  • 과제 - 민생안정과 사회발전 등, 현실 사회 문제 해결
  • 전개 - 경세치용(經世致用), 이용후생(利用厚生), 실사구시(實事求是)
  • 이용 후생(利用厚生)
    • 이용(利用) - 경제 성장, 후생(厚生) - 사회 복지
    • 청의 발달 문물을 배워 상공업의 진흥을 통한 경제 성장과 사회 복지를 추구
    • 《서경》의 '정덕이용후생(正德利用厚生)' - 정덕(正德, 바른 도덕)을 기초로 이용(利用)에 의해 축적된 부를 후생(厚生)의 사회복지로 전환하여 안정된 사회 이룩
  • 실사 구시(實事求是) memo1.gif
    •  사실에 근거하여 진리를 탐구하려는 객관적 태도와 실증적 연구 자세
    •  우리 자신의 역사와 지리 및 문헌 등의 연구를 통한 민족 정체성 형성에 기여

    (3) 정약용(丁若鏞,1762-1836)memo1.gif정약용

  • 당시의 성리학적 학문 풍토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학문 탐구에 몰두, 실학 집대성
  • 심성론(心性論) - 성기호(性嗜好) 사상
    • 심성 - 인간의 심성이란 종래의 성리학과는 달리 선이나 악으로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행위의 구체적 실천을 통하여 결단을 촉구하는 자유의지임
    • 성(性) -  무엇을 싫어하고 좋아하는 성향(嗜好)
    • 내면적 도덕성보다는, 자신의 성향에 따른 자율적 실천 의지나 행위 과정 중시
    • 덕 - 인간 본성에 내재된 것이 아니라, 일상적 행위 속에서 실천하면서 행성되는 것.
    • 성리학에서의 욕망 - 악의 가능성을 지닌 것으로 부정하고 제어해야 할 대상
    • 정약용 사상에서의 욕망 - 삶의 원동력으로 긍정
  • 성리학의 정통적인 심성론에서 벗어나 인간의 존재를 현실성과 개체적 자율성에 근거하여 파악하려는 새로운 사상을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