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상 사회와 사회 사상의 관계
            
            
            
                
                     -  인간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의 모습
                    
 
                    -  현실 사회의 궁핍과 억압으로부터 해방된 사회
                    
 
                    -  예)동학의 인내천 사상 등
                    
 
                
                 (2) 사회 사상의 목표
                
                
                     -  최선의 정치 공동체나 이상 사회 추구
                    
 
                    -  백성들의 단순한 삶을 보존할 뿐만 아니라, 백성들의 선한 삶을 추구
                    
 
                    -  선한 인간의 완성과 선한 공동체의 실현이 결부되어 있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함
                    
 
                    -  선을 행하기에 유리한 환경 조성이 선한 공동체 성취의 조건(야망, 탐욕, 교활함이 조장되는 사회에서는 최선의 인간조차 부패되지 않을 수 없음)
                    
 
                    -  정치 공동체를 개혁하고 구성원들을 도덕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이상 사회 제시
                    
 
                
                 (3) 유토피아(utopia)의 개념
                
                
                    -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라는 저서에서 유래
                    
 
                    -  근대 이래 서구에서는 이상 사회를 유토피아라 부름
                    
 
                    -  그리스 어인 ‘없는(ou)'과 ’장소(topos)'를 합성한 단어
                    
 
                    -  ‘아무 데도 없는 곳’이라는 풍자적 의미를 담고 있음
                    
 
                    -  토마스 모어의 유토피아는, 소유와 생산에 있어서 평등하고, 경제적으로 풍요하며, 도덕적으로 타락하지 않은 사회임
 
                    - 유토피아와 유사한 용어
 
                    
                        - 낙원 : 아무 근심이 없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곳
 
                        - 천국 : (하늘에 있다는) 이상적인 세계
 
                        - 극락 : (불교에서) 착한 사람이 죽은 다음에 간다는, 
                        모든 악과 괴로움이 없는 좋은 세계
 
                        - 천당 : (주로 그리스도교에서) 이 세상에서 선한 일을 
                        한 사람이 죽은 뒤에 가서 부귀 영화를 누리는 세상
 
                        - 파라다이스(paradise) : 천상 또는 지상의 낙원 주위를 
                        두른 아름다운 정원
 
                      
                 
                
                    
                        | 
                               
                         | 
                     
                    
                        [베드로에게 천국열쇠를 주시는 에수님, 바티칸박물관]  | 
                     
                 
            
            2. 이상 사회와 현실의 관계
            
            
                 (1) 이상 사회 실현의 어려움
                
                
                    -  동서양 사상가들이 다양한 이상 사회 제시
                    
 
                    -  역사상 실현된 이상 사회는 없음
                    
 
                    -  플라톤 
 - “도대체 이론이 실천으로 완전히 옮겨질 수 있는가?”
                    
 
                    -  공자 - “천하에 도가 있으면 내가 천하를 변화시키려 나서지 않았을 것이다.”
                    
 
                 
                 (2) 이상 사회를 위한 사회 사상의 역할
                
                
                    -  부조리한 현실 사회의 모순과 한계 지적
                    
 
                    -  현실을 개혁하는 데 필요한 기준과 목표 제공
                    
 
                    -  마르크스 - 사회주의라는 이상 사회를 기준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과 부패를 비판
                    
 
                 
                 (3) 이상 사회 추구의 필요성
                
                
                     -  이상 사회에 대한 인간의 투쟁과 노력은 현재 인류가 누리는 삶을 성취하도록 만든 원동력으로 작용
                    
 
                    -  베버 -인간이 불가능에 도전하지 않았더라면, 현재 가능한 것마저도 성취되지 못했을 것이다.
                    
 
                    -  이상 사회에 대한 탐구는 기존의 사회 사상과 윤리의 발전에 공허함
                    
 
                    -  이상 사회에 대한 탐구는 오늘날 사회 과학의 탄생에 기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