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원의 구성]
교과서 제재
|
핵심 내용
|
도덕 공동체 구현의 이상과 그 모습
|
o 대동 사회. 프랑스 대혁명
o 이상사회 건설의 조건과 방법(자세)
|
도덕 공동체 구현의 기본 원리
|
o 개인과 사회와의 관련성
o 롤즈의 ‘정의론’
|
도덕 공동체 구현의 길
|
o 새마을 운동
o 도덕공동체의 기본 정신
o 도덕공동체 구현을 위한 자세
|
1.
도덕 공동체 구현의 이상과 그 모습
1)
이상 사회의 전통적 모습
①
동양의 대동(大同)사회 : 능력있는 사람에 의한 정치. 사람들은 신의로 서로 화목
경로효친 사상의 돈독.
복지 및 도덕적인 사회
②
서양의 프랑스 대혁명 : 자유. 평등. 박애(사람들 상호간에 사랑이 넘침)의 사회
2)
이상 사회 건설의 요건
①
이념 실현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확보뿐만 아니라 이념의 바탕이 되는 정신의 내면화가 필요
②
인간의 권리와 의무, 그리고 자유와 책임이 균형을 이루어야 함.
3)
형성, 발전시켜야 할 도덕 공동체의 모습
:
전통적 가치관과 서구의 시민 의식의 장점들을 살려서 조화와 통합을 이루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함.
2.
도덕 공동체 구현의 기본 원리
1)
기본방향 : 공동체가 공동선을 추구하면서도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도록 해야함.
2) 롤즈(Rawls,J.)의 정의론
①
첫째 원칙 - 평등의 원칙 : 각 사람은 다른 모든 사람의 자유와 양립할 수 있는 평등한 기본적 자유를 최대한 누릴 수 있어야 함.
(여기서 평등은 똑 같은 결과의 분배가 아니라 '기회의 균등'을 의미함)
② 둘째
원칙 - 차등의 원칙 :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은 최소 수혜자에게 최대의 이익을 보장하되, 후세를 위한 절약의 원칙에 위배되지 않도록 조정되어야 함.
3.
도덕 공동체 구현의 길
1) 우리가 지향해야 할 이상사회
① 인간으로서 부당하게 억압받지 않고 공정하게 대우받으며, 자신의 타고난 재능을 마음껏 발휘하여 행복을 얻는 사회
②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사회, 우리의 전통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사회
예) 새마을 운동 : 근면,
자조, 협동의 정신(계, 두레, 향약의 전통 계승)
: '잘 살기 위한 운동'(진취적 의식, 생산적인 사회 기풍 고양)
2) 도덕 공동체의 구현
① 현실적인 방안 : 가족이야말로 사회성과 도덕성을 구현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공동체이며 모든 윤리의 출발점임.
②
가족과의 공동생활에서 습득된 사회성과 도덕성을 사회로 확대시켜야 함.
3) 도덕 공동체의 기본 정신
① 도덕 공동체 안에 모든 사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함.
② 도덕 공동체가 어느 장소의 사람들이나 한 시대에 사는 사람에게만 한정되지 않음을 인식해야 함
③ 우리 인간이 이 지구에 생존하고 있는 생물의 한종임을 인식함.
4) 도덕 공동체 구현의 구체적 방안
① 정의와 공정성을 갖추고 모든 구성원에 대한 책임과 배려를 다하는 것
② 공익을 위한 시민 단체 활동, 종교 집단의 봉사 활동, 사이버 동호회 활동 등을 통하여 '수신제가 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의 이상 실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