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道  德                    
3. 도덕 공동체의 구현과 공동선의 추구
(1) 도덕 공동체의 의미와 공동선의 중요성

[학습목표]

  1. 도덕 공동체와 공동선의 의미를 이해하고 형성요소를 말할 수 있다.
  2. 전통적인 도덕 공동체의 모습을 제시하고 그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3. 도덕 공동체와 공동선 추구의 필요성을 말할 수 있고 이를 실천하는 의지를 지닌다.

"우리의 선조들은 어떻게 도덕 공동체를 구성하며 살았을까?" 

[단원의 구성]

교과서 제재

핵심 내용

도덕 공동체의 의미와 공동선의 중요성

ㅇ공동체와 도덕 공동체의 의미

ㅇ공동체의 형성 요소

아름다운 공동체의 전통

ㅇ두레             ㅇ향도(香徒)

ㅇ동신제(洞神祭)   ㅇ향약(鄕約)

도덕 공동체와 공동선

ㅇ도덕 공동체의 정신적 토대

ㅇ공동선의 의미

ㅇ공동선과 개인의 이익과의 조화

 

 1. 공동체란 무엇인가?

   1) 오늘날 공동체의 모습 :절도(節度)와 법도(法度)가 현저히 떨어지고, 도덕적, 법적 아노미(anomie)현상이 나타나며, 남에 대한 배려나 공동체의 의식을 찾아보기 어려움.

 

   2) 공동체

    ①‘나’라는 개인덕 의미보다는 ‘우리’라는 집합적 의미를 강조함.

    ② 작게는 가정이나 마을로부터 크게는 세계 전체를 일컬을 수도 있음.

 

   3) 공동체를 형성하는 요소

    ① 일정한 지역을 범위로 하여 형성됨(이웃 사촌, 동일한 기후와 토양)

    ② 공동체 의식 또는 일체감을 바탕으로 형성됨('일체감', '우리감정', '역할감정')

    ③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가 있어야 함.(집단에 참여하고자 하는 강력한 욕구)

    ④ 공동의 가치 또는 공동의 규범이 있어야 함(동일한 도덕적 가치, 공유하는 행위 규범)


 2. 아름다운 공동체의 전통

   1) 우리 나라의 상부 상조의 전통

    ① 지연과 혈연을 중심으로 효도와 우애의 정신을 바탕으로 함

    ② 혼사(婚事), 상사(喪事)와 같은 애경사가 있을 때 마을 사람들이 힘을 모았음.

 

   2) 두레

    ① 벼농사를 위한 마을의 공동 노동 조직

    ② 즐거운 때 농악을 비롯한 여러 가지 놀이를 함께 즐기는 놀이 공동체의 역할도 담당함.

    ③ 종류 : 여성의 길쌈 두레, 남성의 삼(대마) 두레

 

   3) 향도(香徒)

    ① 신라 하대의 향도 조직과 성격을 계승함

    ② 고려 시대 군․현 단위의 지역 유력민이 주도하던 공동체 조직

    ③ 고려 말기에 신앙을 중심으로 하는 자치적․독자적 마을 공동체로 변모함.

 

   4) 동신제(洞神祭)

    ① 마을 단위로 이루어지는 제의(祭儀, 공동 신앙 활동)

    ② 마을을 지켜 주는 동신(洞神)에게 일년에 한 두 차례씩 정기적인 제사를 바치는 마을 공동체의 신앙 행위

 

   5)향약(鄕約) : 조선 시대 향촌의 자치 규약

    ① 4대 덕목

      ․ 덕업상권(德業相勸): 착한 것은 서로 권장함.

      ․ 과실상규(過失相規): 잘못한 것은 서로 고쳐줌.

      ․ 예속상교(禮俗相交): 예의로써 서로 사귐.

      ․ 환난상휼(患難相恤): 어려울 때 서로 도와줌.


 3. 도덕 공동체와 공동선

    1)도덕 공동체:동일한 가치 또는 규범을 공유함으로써, 공동체가 지향하는 이상적인 인간상과 사회상을 설정함.

    

    2)도덕 공동체의 정신적 토대

    ① 홍익인간(弘益人間) : 널리 인간세상을 이롭게 하고자 하는 것.

                  남을 먼저생각하고 도와주고자 하는 정신(호생(好生)의 덕)

    ②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 정의 : 공평한 것, 합법적인 것

      ․ 우애 : 각종 인간관계에서 지켜야 할 도리(사회 및 정치 생활의 최고의 덕)

 

   3)공동선(共同善)

    ①한 사회가 지향하는 공동의 목표와 공동의 가치

    ②현대에는 사익(私益)을 중시한 나머지 공동선과 갈등을 빚는 경우가 나타남.

    ③사회 계약론: 개인주의를 토대로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 전체의 공익을 존중하는 윤리의식을 바탕으로 함.

      ․문제점 -개인주의의 강조로 공익 추구에 한계가 있음.

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