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道  德                    
2. 청소년 문제와 청소년문화
(
2) 현대 사회와 청소년 문제

[학습목표]

  1. 청소년 문제의 등장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2. 정보 사회에서 청소년의 비인간화 문제를 이해할 수 있다.
  3. 정보 사회에서 비인간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다.  

"인생에 있어서 청소년기는 왜 중요할까?" 

[단원의 구성]

교과서 제재

핵심 내용

청소년 문제의 등장배경

◦ 청소년기의 중요성

◦ 산업화와 청소년 문제

◦ 도시화와 청소년 문제

정보사회에서 청소년의 비인간화 문제

◦ 정보 사회의 긍정적 측면

◦ 정보 사회에서 청소년 문제의 심화 요인

정보 사회에서의 비도덕적 문제

◦ 정보 사회에서의 비도덕성

◦ 정보 사회의 비도덕성의 해결방안

 

[청소년 문제의 등장 배경]

 

 1. 청소년기의 중요성

   1) 자기에 대한 새로운 탐색기

   2) 스스로가 자기다움을 만들어 가야 하는 시기 (인격이 형성되는 시기)

   3) 육체적 힘은 성인처럼 커지지만 정신적 기능은 성인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시기 (육체와 정신의 괴리)

 

 2. 청소년 문제의 발생과 대두 배경

   1) 청소년 문제의 발생

    ① 인격의 미성숙 및 정신적 기능의 지체

    ② 문제 유형 : 가출, 음주, 흡연, 약물 오남용, 성충동, 학교 폭력, 기타 사회 범죄 등

   2) 청소년 문제의 대두 배경

    ① 청소년 문제가 사회 구성원들의 본격적 관심사로 등장한 시기는 산업 사회임

    ② 산업 사회로의 변화와 청소년 문제의 발생

     ○ 기계에 의한 대량 생산 체제 → ○ 청소년 노동의 중요성 감소 → ○ 청소년기의 연장 → ○ 교육과 훈련 기간 확대 → ○ 청소년 집단의 확대 → ○ 청소년 문제의 파생

     

 3. 도시화와 청소년 문제

   1) 도시화 : 대규모 인구의 도시 집중 현상

   2) 도시화의 대두 :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비중이 급증하자 산업의 중심지인 도시로 인구 집중

   3) 도시화가 청소년 문제에 끼치는 영향

    ① 비인간화되고 익명성이 심화된 도시에서의 인간 관계 → 청소년들의 비행 촉진

    ② 전통적인 공동체의 해체에 따른 전통 윤리의 상실 → 청소년들의 건전한 가치관 형성에 나쁜 영향을 끼침

정보 사회에서의 비인간적이며 비도덕적인 문제는 무엇일까?

 

[정보 사회에서 청소년의 비인간화 문제]

 

 1. 정보 사회의 긍정적 측면

   1) 컴퓨터와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 → 편리한 의사소통, 자료 확보, 물건 매매

   2) 낙관적 기대-정보 사회를 앉아서 모든 것을 이룰 수 있는 유토피아 세계로 여김.

 

 2. 정보 사회에서 청소년 문제의 심화 요인

   1) 컴퓨터를 통해서 접하게 되는 인간 관계-인간 소외와 비인간화의 문제를 초래함

    ① 간접적인 인간관계

    ② 전인격적 관계라기보다는 부분적 기능적인 관계

    ③ 사이버 인물을 매개로 한 가상적인 인간관계

   2) 가상 공간의 등장에 따른 청소년 문제

    ① 정체성의 위기가 심화되고 자기로부터의 소외가 가속화됨

    ② 현실과 가상을 혼동하거나 현실 세계간의 운영 법칙이 모순됨으로써 가치의 혼란  


[정보 사회에서의 비도덕적 문제]

 

 1. 비도덕적 행동을 야기하는 정보 사회의 특징

   1) 익명성의 유혹에 빠지기 쉬움 → 비도덕적인 행동을 쉽게 저지르는 경향이 있음

   2) 인터넷을 통한 허위 정보 유포 → 무책임한 언행이 무한정 확대 될 수 있음

   3) 불건전한 자료의 대량 유포 → 청소년들의 정신을 황폐화시킴 (인터넷 중독)

 

 2. 정보 통신 윤리의 강화 

   1) 인간 존중, 정의 , 해악 금지 등 기존의 윤리적 원리들을 정보 통신의 장에 적용하는 것 임.

   2) 정보 사회에서의 비인간화 , 비도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음

 

 

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