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정보 사회에서의 자아 정체성 형성]
1.
가상 공간의 의미
1) 물리적 제한이 없음
2) 육체적 신원을 뛰어넘는 새로운 신원을 만들어 낼 수 있음.
2.
가상 공간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1) 가상 공간의 긍정적 측면
① 자신의 역할 및 자아에 대해 깊게 인식할 수 있음
② 지적 감성적 개방성을 높이고 포용력 있는 성향을 가지는데 도움을 줌
③ 상호 교류를 통해 분석, 판단, 평가, 비평, 협조 등의 태도와 능력을 기를 수 있음
④ 자아 발견과 자신만의 세계 구축을 촉진시킴
2) 가상 공간의 부정적 측면
① 익명성으로 인하여 무책임하게 행동하게 될 우려가 많음
② 현실적 고통으로부터 도피하게 함으로써 통합된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음
③ 객관적인 자기 모습을 파악하기 힘든 공간이기 때문에 부유(浮游)하는 정체성을 지니게 할 위험성이 있음
[바람직한 자아 정체성 형성을 위한 노력]
1.
자아 정체성 형성의 유형
1) 성공한 유형
① 자신에게 합당한 진로를 발견한 청소년
② 매사에 의욕적이며 목표 의식이 뚜렷함
2) 혼미한 유형
① 직업이나 신념 체계에 대한 개인적 의사 결정을 하지 않는 상태
② 좋은 것이 좋은 것, 될 대로 되라는 식의 무책임한 삶을 영위
③ 청소년기는 자아 정체성의 위기이다. (Erikson , E)
3) 유예하는 유형
① 여러 가지 역할과 신념들을 시험해 보고 있는 상태
② 자아 정체성에 대해 아직 결단을 내리지 않았거나 잠정적으로 결단을 내린 상태
③ 자아 정체성 형성의 유예는 성공적인 자아 정체성 확립을 위한 선결 요건임
4) 의지 상실 유형
① 자아 정체성의 위기나 탐색을 경험하지 않음(Erikson , E 의 청소년기 자아 정체성 위기의 요인)
ㄱ. 신체적 정신적 성숙에 따른 내적 충동의 양적 질적 변화
ㄴ. 주변인으로서 독립성과 의존성의 상반된 사회적 요구를 경험
ㄷ. 진로 선택의 강요를 받음
ㄹ. 지적 능력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자아에 대한 고민과 번민, 갈등이 증폭
ㅁ. 동일시 대상이 변화한다.
② 부모 또는 의미 있는 타인과의 동일시에 의하여, 그리고 그들로부터의 압력과 주입에 의하여 자신의 목표와 가치, 신념에 대한 의사 결정이 이루어짐
2.
바람직한 자아 정체성 확립의 조건
1) 선결 요건 - 자아 정체성 형성의 심리적 유예 경험
2) 정체성 확립을 위해 탐색해야할 가치들
① 인생의 목표, 직업, 종교적 신념, 성 역할, 이데올로기
② 개인, 가정, 사회, 국가, 민족, 지구 공동체 등 5가지 차원의 자아 정체성 통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