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와 민족 문화

20. 소설(小雪 / 11월 22,23일)
- 24절기의 스무 번째. 음력으로는 10월 중기, 양력으로는 11월 22일, 23일 께이다. 입동과
대설(大雪) 사이에 드는데 태양의 황경(黃經)은 240도가 된다. 이로부터 차츰 겨울이라는
기분이 들기 시작하면서 눈(雪)이 내린다.
- 이 시기에는 첫겨울의 증후(症候)가 보이는데, 옛사람은 이 기간을 5일씩 3후(三侯)로
구분하여, ① 무지개가 걷혀서 나타나지 않고, ② 천기(天氣)가 올라가고 지기(地氣)가
내리며, ③ 폐색되어 겨울이 된다고 하였다.
- 살얼음이 잡히기 시작하면서 제법 춥지만 그래도 낮엔 아직 따뜻하여 아늑하기도 해서
소춘(小春)이라 부르기도 한다.
- 소설 무렵, 대개 음력 10월 20일께는 관례적으로 심한 바람이 불면서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기도 하는데 이날은 손돌(孫乭)이 죽던 날이라 하고, 이때의 바람을 '손돌바람'이라
해서 외출을 삼가고 배를 바다에 띄우지 않는다.
- 손돌(孫乭)의 전설 - 고려 때 전란이 일어나 왕이 강화도로 파천(播遷)을 가게 되었는데,
배가 통진(通津)·강화 사이(후에 손돌목이라 하였다)에 이르렀을 때 풍랑이 일어 위험하게
되었다. 뱃사공 손돌이 왕에게 일단 안전한 곳에 쉬었다가는 것이 좋겠다고 아뢰었다.
그러자 왕은 파천하는 처지라 모든 것이 의심스러운 터에 그런 말을 고하므로 그를 반역죄로
몰아 참살하였다. 그러자 갑자기 광풍이 불어 뱃길이 매우 위태롭게 되었다. 할 수 없이 싣고
가던 왕의 말을 목베어 죽은 손돌의 넋을 제사하니, 비로소 바다가 잔잔해져 무사히 강화에
도착하였다 한다.
- 그 뒤 매년 이 날이 되면 날이 몹시 추워지고 광풍이 인다고 하는데, 이는 손돌의 억울하게
죽은 원혼 때문이라고 한다. 이 때의 추위를 손돌추위, 그 바람을 손돌이 바람(손돌풍,
손석풍(孫石風))이라고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