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傳統倫理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

Ⅳ.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 - 3. 사회 생활과 정명 정신
(3) 공동체의식과 협동정신(교과서 243~247쪽)

"만일 예에 대해 의문나는 것이 있거든, 예를 아는 선생이나 어른께 여쭈어
반드시 그 예를 다하는 것이 옳다.
- [격몽요결]

[나는 혼자서 살아갈 수 있는가?]

      (1) 현대 자유주의 사회 -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존중해 주지만, 공동체에 무관심한 이기적 존재들의 집합체가 되기 쉬움

      (2) 자유주의의 한계 극복을 위한 대안

        - 독립적이고 개체적인 인간관에 대한 반성, 유기체적 ․ 관계론적 인간관에 대한 관심 필요

    • 정명 사상 : ‘관계 속의 나’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역할을 다하는 정신
    • 오륜(五倫) : 구체적 사회 환경 속에 존재하는 도덕적 인간관계의 도리


[가족윤리의 사회적 확대]

      (1) 전통윤리의 특징

    • ‘지금 여기’에 존재하는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출발하여 사회적으로 확대됨
    • 친기친(親其親) - 자신의 혈육에 대한 사랑
    • 장기장(長其長) - 자신이 속해 있는 공동체 안의 어른에 대한 공경

      (2) ‘서(恕)’의 윤리 필요

    • 서(恕)의 의미 - 참된 마음을 바탕으로 타인의 입장을 헤아리는 것
    • 서는 ‘자기가 원하지 않는 것은 남에게도 베풀지 말라.’는 인의 소극적 측면임
    • 다른 사람을 나와 동등한 인격을 지닌 도덕적 주체로 대하는 원칙
    • 한국 사회의 병폐인 ‘집단 이기주의’, ‘연고주의’, ‘정실주의’ 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 윤리

[가족윤리의 사회적 확대]

      (1) 농업사회와 공동체의식 - 협동과 유대의 공동체 의식의 전통 

    • 두레 - 공동작업, 공동오락의 공동체 정신의 상징
    • 서당과 향교 - 교육공동체, 도덕교육과 여론 형성의 본원지

      (2) 올바른 노사 관계와 기업 문화의 정립

    • 기업도 하나의 공동체라는 인식 필요
    • 노사 관계를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 대립과 갈등의 관계가 아닌 공생 관계로 인식
    • ‘나’보다 ‘우리’를 먼저 생각한 조상들의 지혜 계승

      (3) 정명과 서의 가치

       - 현대사회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시민윤리형성에 도움을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