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傳統倫理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

Ⅳ.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 - 3. 사회 생활과 정명 정신
(1) 절의와 선비 정신(교과서 234~237쪽)

"만일 예에 대해 의문나는 것이 있거든, 예를 아는 선생이나 어른께 여쭈어
반드시 그 예를 다하는 것이 옳다.
- [격몽요결]

[선비란 누구인가?]

      (1) ‘선비’의 원래의 뜻 : 학문과 인격을 함께 갖춘 유교 사회의 지식인

      (2) ‘선비’라는 말의 등장 : 용비어천가(세종)에 ‘선’로 처음 등장

         → 공부를 깊이 하여 관직에 나아가 자신이 깨달은 바를 세상에 펴고자 하는 사람

      (3) 조선 중기 이후 선비의 뜻

    • 관직에 나아가지 않더라도 ‘도의(道義)’를 실천하고자 하는 양심적 지식인
    • ‘사림(士林)’ : 관리가 되기를 거부한 채 학문과 수양에 몰두

      (4) 선비의 다양한 모습(역할)

    • 철저한 자기수양, 자연의 이치 탐구
    • 사회 개혁 및 국난 극복을 위한 적극적 사회 참여
    • 시대의 정신적 지주 역할

    - “선비는 나라의 원기(元氣)이고 선비가 없으면 나라가 망한다.”

[선비 정신의 본질]

      (1) 이상적인 지식인상(像)

    • 유학에서 이상적 지식인, 부조리한 현실을 고발하고 도덕 사회구현을 위해 선도적 역할을 하는 비판적 지성
    • 고려말의 길재, 조선 중기의 김숙자, 김종직, 정여창, 조광조의 사람파, 16세기 조식과 그 제자

      (2) 선비가 지녀야 할 필수적인 덕목 : 절의 = 절개 + 의리

    • 절개(節槪) : 올바른 신념이나 신의를 굽히지 않으려는 꼿꼿한 태도
    • 의리(義理) :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도리
    • 절의(節義) : 사람으로서 지켜야할 도리에 입각해서 신념을 굽히지 않고 지조 있게 행동

      (3) 조선 시대의 대표적 절의파 선비들

       

       

    • 사육신 : 세조의 왕위 찬탈과 패륜 행위를 비판, 저항
    • 삼학사 : 병자호란 때 저항하며 결사 항전을 주장하다 청나라로 끌려가 참형을 당함
    • 최익현 : 일제가 조선을 침략했을 때 의병 활동을 하다 단식 자결함
    • 황현 : 일제에게 나라를 빼앗긴 부끄러움에 스스로 순국함

[현대 사회와 선비 정신]

      (1) 현대 사회의 문제점 : 자유라는 미명 아래 무분별한 욕망 추구

         - 공익을 해치고 갈등과 분쟁 야기

      (2) 선비 정신의 계승을 위한 노력

    • 이기적인 욕망을 극복하고 도의가 구현된 사회를 이루고자 노력함
    • 참된 지식인은 올바른 삶에 대한 인식과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도덕적 용기를 지녀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