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 - 3. 사회 생활과 정명 정신
[선비란 누구인가?]
(1) ‘선비’의 원래의 뜻 : 학문과 인격을 함께 갖춘 유교 사회의 지식인 (2) ‘선비’라는 말의 등장 : 용비어천가(세종)에 ‘선’로 처음 등장 → 공부를 깊이 하여 관직에 나아가 자신이 깨달은 바를 세상에 펴고자 하는 사람 (3) 조선 중기 이후 선비의 뜻 (4) 선비의 다양한 모습(역할) - “선비는 나라의 원기(元氣)이고 선비가 없으면 나라가 망한다.” [선비 정신의 본질]
(1) 이상적인 지식인상(像) (2) 선비가 지녀야 할 필수적인 덕목 : 절의 = 절개 + 의리 (3) 조선 시대의 대표적 절의파 선비들
[현대 사회와 선비 정신]
(1) 현대 사회의 문제점 : 자유라는 미명 아래 무분별한 욕망 추구 - 공익을 해치고 갈등과 분쟁 야기 (2) 선비 정신의 계승을 위한 노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