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傳統倫理blacktouch_up.gifblacktouch_next.gif

Ⅳ.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 - 2. 경제 생활과 대동 사회
⑴ 도덕적 삶과 경제적 삶 (교과서 220~224쪽)

"만일 예에 대해 의문나는 것이 있거든, 예를 아는 선생이나 어른께 여쭈어
반드시 그 예를 다하는 것이 옳다.
- [격몽요결]

[전통 윤리에서는 경제적 이익 추구를 부정했는가?]

    (1) 유학의 경제관

    • 물질적 번영과 경제적 부(富) : 도덕적 완성의 수단적 가치로서 인정
    • 경제활동 : 도덕과 경제의 분화 속에서, 도덕을 우위로 하여, 도덕적 원칙의 인도를 받는 공동체적 물질적 환경의 조성. 자본주의와 대비. 의주이종(義主利從), 견리사의(見利思義)

    (2) 조선 전기 유학의 경제관

    • 성리학의 억말숭본(抑末崇本)에 따라 사․농․공․상이 엄격한 위계 구조 유지

    (3) 조선 후기 실학의 경제관

    • 민생안정, 사회개혁, 현실적, 실용적 경제관
    • 경세치용(經世致用), 이용후생(利用厚生), 실사구시(實事求是)의 노선

[경제 사상의 윤리적 의미]

    (1) 경제의 어원 : 경(經, 다스린다)+제(濟, 건져낸다)

    (2) 경제의 의미 : 경국제민(經國濟民, 나라를 다스리고 백성을 구함), 경세제민(經世濟民,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구함) =>‘수신제가치국평천하’, ‘왕도정치’

    (3) 전통적인 경제관(윤리적 의미) : 굶주림에서 벗어나게 함, 떳떳이 살 수 있는 생업, 고른 분배

[도덕적인 삶과 경제적인 삶의 조화]

    (1) 물질적 재화, 부의 존재, 이윤추구는 도덕적 삶의 수단적 가치로 인정

    (2) ‘의주이종(義主利從)’의 상인 윤리

    • 중국 명나라 시대의 상인, 동남아시아 화교 기업가
    • 부의 사회적 환원과 공공이익에 부합하는 경제 활동, 상호 신뢰와 명예, 책임, 상호 이익 추구

    (3) ‘인간의 얼굴을 한 자본주의’ : 도덕적 삶과 경제적 삶의 조화(욕망절제, 자기수양, 공정한 기업운영, 부의 사회적 환원과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