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국가,
사회에 이바지하고 자연을 아끼는 삶 - 2. 경제 생활과 대동 사회
[전통 윤리에서는 경제적 이익 추구를 부정했는가?]
(1) 유학의 경제관 (2) 조선 전기 유학의 경제관 (3) 조선 후기 실학의 경제관 [경제 사상의 윤리적 의미] (1) 경제의 어원 : 경(經, 다스린다)+제(濟, 건져낸다) (2) 경제의 의미 : 경국제민(經國濟民, 나라를 다스리고 백성을 구함), 경세제민(經世濟民,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구함) =>‘수신제가치국평천하’, ‘왕도정치’ (3) 전통적인 경제관(윤리적 의미) : 굶주림에서 벗어나게 함, 떳떳이 살 수 있는 생업, 고른 분배 [도덕적인 삶과 경제적인 삶의 조화]
(1) 물질적 재화, 부의 존재, 이윤추구는 도덕적 삶의 수단적 가치로 인정 (2) ‘의주이종(義主利從)’의 상인 윤리 (3) ‘인간의 얼굴을 한 자본주의’ : 도덕적 삶과 경제적 삶의 조화(욕망절제, 자기수양, 공정한 기업운영, 부의 사회적 환원과 책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