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친척, 이웃, 교우관계와 바람직한 삶 - 2. 이웃 관계와 상부상조
[인사 예절] 참고>뿌리넷 - 나의 뿌리 - 절과 인사 : http://www.poori.net/myroot/jul.htm 1. 인사와 절 (1) 인사는 안부를 묻고 공경, 친애, 우정을 나타냄 (2) 절은 몸을 굽혀 행동으로 경의를 표하는 대표적인 인사임→한자 ‘배’는 땅을 짚은 손에 머리를 대는 것을 의미함 (3) 절은 대개 하위자가 존장자에게 함 (4) 식사 여부와 신변 안전을 묻는 인사말을 함 2. 공수(拱手)
(1) 손을 앞으로 맞잡아 공손한 자세를 취하는 것 (2) 남자는 왼손이 위로 가게 하고, 여자는 오른 손이 위로 가게 함 (3)
두 엄지손가락은 깍지 끼듯 교차함. (5) 상례 등 흉사시에는 남녀 모두 오른손 왼손의 위치가 바뀜 (6) 양복과 양장을 여미는 방법과 같음 3. 상견례(相見禮)
(1) 큰 절 ○ 최대의 경의를 표하는 인사법→실내외를 막론하고 자리를 깔고 함 ○ 방법 - 남자(계수배) : 공수한 손을 바닥에 짚고, 무릎을 꿇어 이마가 손등에 닿을 만큼 허리를 구부렸다가 허리를 펴고 일어나 반절함. - 여자(숙배) : 공수한 손을 이마에 대고 무릎을 꿇고 앉아 상체를 앞으로 굽혔다가 천천히 일어남 ○ 제사 등 의식 행사에서는 두 번 하는 것이 원칙임 (2) 평절과 반절 : 평절-일반적으로 행하는 절/반절-평절의 약식 (3) 읍(揖) : 서서 하는 절의 일종으로 공수한 상태에서 허리를 숙여서 경의를 표하는 방식으로, 공수한 손의 위치가 높을수록 허리를 많이 굽힐수록 깊은 경의 나타냄
4. 인사치레 (1) 선물을 주고받는 인사 (2) 이사했을 때 이웃에게 음식을 돌리거나 집으로 초청하여 음식과 선물을 주고 받음, 집을 지어 낙성하거나 백일 등에도 음식을 나누어 먹음
[향당 의례 및 의식주 예절] 1. 향음주례(鄕飮酒禮) (1) 이웃과 함께 하는 술 마시는 의식의 일종 (2) 시기 및 지역 : 해마다 맹동(孟冬)의 길일(吉日)을 택하여 모든 주현(州縣)에서 행함 (3) 장소 : 향교, 서원 (4) 참석자 : 향촌의 선비, 유생들이 학덕과 연륜이 높은 사람을 주빈(主賓)으로 모시고 나머지 유생들을 빈(賓)으로 함 (5) 목적 : 절도 있게 술잔을 헌수(獻酬)하여 연장자를 존중하고 유덕자를 높이며 예법과 사양의 풍속이 널리 퍼지도록 함 (6) 수령이 서사(誓詞)를 낭독함 : 국가에 충성, 어버이에 효도, 가정 화목, 이웃과 화합
2. 향사례(鄕射禮) (1) 주나라의 향대부가 3년마다 어질고 재능 있는 사람을 왕에게 천거할 때 행하는 활쏘기 의식에서 기원함 (2) 고을의 수령이 봄과 가을의 길일을 택하여 행함 (3) ‘사(射)’는 ‘그 뜻을 바르게 한다’는 의미로 예법을 좋아하는 사람을 앞세워 의식을 행함 3. 의식주 예절 - 의식주 예절은 [소학]에 자세히 실려 있음 (1) 의복 예절 ○ 장소, 절기에 맞추어 색깔을 고려하여 입음 ○ 성장시 속옷과 겉옷을 제대로 갖추어야 함 (2) 식사시나 기거할 때도 지켜야 할 규범이 많았음 (3) 전통 예절은 윗사람을 존중하고 아랫사람을 사랑하는 기본 정신을 담고 있음 [현대 사회와 전통 예절의 발전 방향] 1. 전통 예절의 변화 (1) 서구 문물이 유입되어 새로운 양식으로 변화됨 (2) 까다로운 격식이나 겉치레가 생략되어 간소화됨 (3) 서구 예절의 무분별한 도입으로 본래 의미는 사라지고 기형적인 형식만 남게 된 경우도 있음 (3) 약수 등과 같이 우리 것이 되어 버린 외래 예절도 있음 2. 세계화 시대의 예절 (1) 예절이란 원만한 인간 관계를 위하여 타인을 배려하는 형식과 절차임 (2) 외래 예절이라도 예절의 정신에 어긋나지 않는다면 우리 것으로 받아들여야 함 (3) 세계화 시대에 세계 시민으로서 ‘글로벌 에티켓’을 갖추어야 함 (4) 시민 사회는 계약 사회이며, 지구촌화된 사회도 계약 사회이므로 약속의 준수가 중요함 3. 전통 예절의 가치 (1) 예절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변화하므로 우리 예절도 변화할 수밖에 없음 (2) 세계 시민으로서 서구 시민 사회의 합리주의에 기초한 예절을 익혀야 함 (3) 합리주의가 갖는 한계를 공동체에 기반을 둔 전통 예절로 극복해야 함 (4) 가족 관계의 사랑과 질서를 중시하는 전통 예절은 현대 사회의 병폐를 극복할 수 있는 소중한 가치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