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윤리 사상의 생활 규범 ⇒ 우리 민족의 윤리관, 가치관 형성과 구체적
생활 양식의 확립에 중요한 영향
【1】동방
예의 지국
1> 동방예의지국(東方禮義之國) - 오늘의 윤리적 좌표를 새롭게
하고 현대적 삶의 도덕적 지향점 모색을 위한 기초.
2> 한국 윤리 사상의 연원
- 상고 시대 우리 조상의 생활 속에 다양하게 존재
- 원시 신앙과 단군 신화
- 우리의 옛 문헌 및 중국의 문헌에서 발견됨.
【2】원시
신앙
- 하늘이나 자연계의 모든 대상들이 초월적인 힘과 영혼을 지니고 있다고 믿음.
- 자연 숭배
- 이를 숭배하는 의식을 통해 복(福)을 빌고 불안과 두려움 해소
- 영혼 불멸 사상에 근거함 - 정령(精靈) 숭배
- 하늘[천(天)]의 의미
- 호생지덕(好生之德)을 지닌 존재
- 인간의 기원을 들어주는 시혜자이면서 악인을 징벌하는 심판자
- 경천(敬天)
- 하늘을 닮아 도덕적으로 선하게 살면서 인간끼리 서로 사랑하며 사는
것.[=애인(愛人)]
- 경천(종교적 차원)=애인(윤리적 차원)
- 경천 사상: 단군 신화를 통해 심화 정련되어 한민족 윤리 의식 전개의
정신적 씨앗이 됨.
【3】단군(檀君)
이야기
1> 사상적 의의
- 한민족의 윤리관, 가치관, 세계관, 건국 이념이 담김
- 우리 민족의 원초적 관념과 생활 양식이 깃듬
- 국가 위기시 민족의 주체성 회복의 정신적 지주
2> 내 용
- 천제(天帝) 환인(桓因)의 아들 환웅(桓雄)
- 홍익인간(弘益人間), 재세이화(在世理化)
- 비(雨師), 구름(雲師), 바람(風伯)의 신하
- 곰(熊女)와 결합, 단군(檀君)의 탄생
3>단군 이야기의 윤리적 의의
- 인간 중심적 인본주의적 성격
- 천신 환웅이 인간 세상에 살기를 원함 - '탐구인세(貪求人世)'
- 곰, 호랑이도 인간이 되고자 함. - 원화위인(願化爲人)
- 한국 윤리 사상의 인본주의적 전통의 원형
- 천인 합일 사상 - 천상세계와 지상세계의 조화된
통일된 세계관
- 천신 환웅과 땅의 웅녀 사이에 단군 탄생
- 자연(하늘과 땅)과 인간의 합일
- 극대화된 자연 친화적 경향
- 조화의 정신
-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정신
- '널리 인간 세상을 이롭게 한다.'는 인간 중심주의 사고
- 이타주의, 인간 존중 사상, 복지, 정의, 평화, 도덕적 가치의 실현 추구
- 홍익인간을 위한 조건 - '8조법금'의
공공질서 의식과 민족 의식 : 생활 규범, 이상 사회, 국가 건설의 통치 이념
- 평화 지향
- 단군 이야기 자체가 평화적 내용으로 일관됨.
- 우리 민족의 평화 애호적 민족성의 근원이 됨
- ≪후한서≫기록 - 천성이 유순 온화, 사리 분별, 노래와 춤, 멋과 여유를
즐기는 민족
|